물 관리 위기의식 가져야
상태바
물 관리 위기의식 가져야
  • 한문성 기자
  • 승인 2019.06.21 12: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관광신문 편집인 한문성

제주도는 행정구역 상 도(道)지만 섬(島)지역이다. 제주도가 다른 육지부 지역과 또다른 특징을 가지는 것은 강이 없다는 것이다.
제주지역에 하천은 있다. 제주의 하천 역시 육지부와 달리 대부분 건천이어서 큰 비가 내렸을 때만 바다로 물이 흘러가기 위해 잠깐 동안 흐르는 것이 전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문에 모든 용수를 지하수에 의존해야 하는 제주지역의 실정에서 볼 때 지하수는 단순하게 물이나 용수가 아닌 '생명수'다.
즉, 제주지역은 지하수가 없으면 생명이 없는 섬이 되기 때문에 지하수를 생명수라고 부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지하수는 2006년 2월 제정된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에 공공의 자원으로 규정됐다.
이 법 제310조의 '지하수의 공공적 관리'규정에는 '제주특별자치도내에 부존하는 지하수는 공공의 자원으로서 도지사가 관리하여야 한다'고 명시했다. 이 규정은 지하수에 공수화 개념을 도입한 것이다.
또 지하수 적정관리와 오염예방, 용수의 안정적 공급, 지하수 기초조사 및 관측, 대체수자원 개발 및 이용 등에 대한 도지사의 의무를 규정했다.
그만큼 제주의 지하수의 중대성을 법에 규정하고 이를 제대로 보호, 관리해야 한다는 의무를 부과한 것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년 전에 좌절된 지하수의 공공용 개발만 허용되는 지하수 특별관리구역 지정을 재추진하기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의회에 동의안을 제출하는 등 지하수 관리에 나름 노력을 하고 있으나 지하수를 이용하는 상수도 관리에는 허점을 드러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는 바로 유수율 제고를 위한 도정이 미흡하다는 비판이 제주특별자치도의회에서 제기됐기 때문이다.
더불어 민주당 문종태 도의원이 제기한 바에 따르면 환경부가 발표한 블록구축(최적관리시스템) 상수도통계자료에 제주도의 유수율 제고 노력은 전국과 비교가 불가할 정도로 최하위인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문 의원은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373회 정례회 제1차 회의 예산결산위원회 제2차 회의에서 2016년 환경부가 발표한 제주특별자치도의 블록화사업 구축률(실행률)은 대블록 0%, 중블록 1.5%, 소블록 12.1%에 그쳤다고 지적했다.
다른지역의 경우 서울은 대블록 100%, 중블록 70.4%, 소블록 100%고, 부산은 대중소 블록 모두 100% 완료, 울산광역시 역시 전부 유수율 제고를 위한 블록사업이 거의 완료된 것과 비교할 때 문 의원의 표현을 빌리지 않더라도 "말하기에도 민망한 수치"다.
물론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에서 밝힌 대로 유수율 제고를 위한 사업이 2016년에 시작돼 실적이 저조하다는 점도 십분 이해가 간다.
하지만 모든 행정은 앞을 내다보는 예측 행정이 필요하다. 특히나 지금과 같이 하루가 다르게 상황이 급변하는 시기에는 유비무환의 자세가 필요하다.
우리는 이미 관광객의 급증으로 인해 환경기초시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제주바다가 오염되고 쓰레기가 넘쳐나는 등 심각한 환경문제를 경험한 바가 있다.
제주의 청정환경을 지키기 위한 환경기초시설의 확충은 아무리 서둘러도 빠르지 않다는 점을 다시 한번 교훈으로 삼기에 충분했다.
환경시설도 중요하지만 보다 중요한 점은 물관리에 있다.
제주의 지하수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때 우리에게 닥칠 미래는 상상조차 하기 힘든 일이 벌어질 수 밖에 없다.
제주특별자치도가 물 관리에 더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하고 위기위식을 가지고 정책을 추진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