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 제주를 알려면 4·3을 알아야 한다
상태바
진정 제주를 알려면 4·3을 알아야 한다
  • 진순현 기자
  • 승인 2019.04.19 1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4·3 71주기 …‘4·3희생자 배·보상 문제’ 꼭 해결되어야

 

'제주 4·3'은 1947년 3월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3일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7년여에 걸쳐 제주섬을 피로 물들게 한 한국현대사의 최대 비극적인 사건이다. 한국 현대사에서는 6.25전쟁 다음으로 인명피해가 극심했다.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에 따르면 4·3희생자 신고만 1만5000건에 이른다. 일가족이 몰살당했거나 육지나 일본으로 도피한 사례, 살아남았어도 신고도 하지 못한 사람이 허다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희생자 수는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대 제주도민 8분의 1(3만명에서 8만명) 이상이 죽거나 행방불명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념갈등이 발단이 되어 남로당 무장대, 미군정과 국군, 경찰이 민간인들을 학살했고, 4·3 유족들의 증언에 따르면 후엔 이념에 상관없이 마구잡이로 죽여버리는 완전히 미쳐버린 세상이었다. 총살은 기본이었고, 죽창으로 남녀노소 구분 없이 무차별적 학살이 자행됐다. 여기에 1948년 10월 17일 군은 '해안선으로부터 5km 이하 떨어진 중산간 지대를 통행하는 자는 폭도배로 인정해 총살하겠다’는 포고문 발포는 무차별 대량 학살의 정점을 찍었다.
이른바 중산간마을에는 해안마을로 이주하라는 소개령(疏開令)을 발동이었다. 군의 초토화작전은 10월 23일에 개시됐다. 당초 초토화 작전개념은 중산간마을 주민들을 해변마을로 소개(疏開)시키고 해변마을에는 주민감시체계를 구축해 무장대의 근거지를 없앤다는 것이었지만, 토벌대의 전과 올리기로 변질돼 중산간마을 대부분이 사라지고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는 집단총살이 이뤄졌다. 
토벌대는 100여 개의 중산간마을을 불태우고 주민을 학살했다. 태워 없애고, 굶겨 없애고, 죽여 없애는 소위 빨갱이 사냥이 벌어졌다. 초토화작전 이후 다음해 3월까지 약 5~6개월 동안에 가장 많은 주민이 학살됐다. 주한미군사령부가 1949년 4월 1일 자로 발행한 '4·3 정보보고서'에 따르면  “1948년 4월 3일부터 지난 한해 동안 1만4000명~1만5000명이 주민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고 추정했다.
올해 71주기를 맞아 제주4.3의 주요 과제 중 하나인 4.3희생자에 대한 배.보상 문제 해결을 바라는 염원의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해 정부는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제주4.3특별법 전부 개정법률안이 통과되면 이에 근거해 연금방식 등 다양한 보상방식을 검토해 나갈 뜻을 밝혀 주목되고 있다.
한편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는 71주년 제주4.3희생자추념일을 앞둔 내달 1일 4.3특별법 개정안을 심사할 예정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앞서 열린 지난 22일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4·3특별법 개정안과 관련 “법안 심의 과정에서 관계부처 간에 남아있는 몇 가지 쟁점에 대해 정부에 조정된 입장을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혀 청신호가 켜지고 있다.

 

◆4·3희생자 추념기간, 다양한 기념행사 개최
-道, 3월 18일~4월 7일 추념기간 운영...추모 분위기 조성
제주특별자치도는 4·3 71주년을 맞아 4·3희생자 추념기간(2019. 3. 18~4. 7)을 운영키로 하고, 범도민 추모 분위기 조성과 4·3의 가치 알리기를 위한 다양한 기념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이를 위해 342개 기관·단체 인사가 참여하는 봉행위원회와 봉행집행위원회(실무위원회 겸임)를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봉행위원회와 봉행집행위원회는 지난해 4·3이 대한민국의 당당한 역사로 자리매김한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세대와 호흡하며 4·3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전승해 나가기 위한 추념식과 퍼포먼스를 준비하고 있다.
도는 4·3희생자 추념기간에 박상원·임현식 등 유명 연예인이 참여하는 동백꽃 배지 달기 캠페인을 시작으로 ▲동백나무 기증 및 식재 캠페인 ▲4·3희생자 기록 전시 ▲증언본풀이마당 ▲찾아가는 현장위령제 ▲4·3생존희생자 및 유족 위로행사 ▲분향소 운영(서울 및 부산) ▲4·3 청소년 이야기 한마당 ▲타시·도 파워블로거 및 SNS기자단 초청 4·3알리기 등의 사업을 잇따라 추진한다.
또한 유관기관·관련단체와 협력해 4·3 71주년 추념음악회, 도올아인 오방간다, 71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 제주4·3평화기행 등 4·3의 전국화·세계화 기념사업도 본격 시행한다.
특히 추념식 전일에는 제주시청 일원에서 전야제 행사를 개최해 추념공연을 비롯해 대화극, 마임극 등 다양한 문화예술행사을 통해 추념식 분위기를 한껏 끌어올릴 예정이다.
허법률 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4·3 70주년 기념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4·3의 가치를 미래세대와 공유하는 등 4·3의 전국화·세계화 기념사업을 내실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진순현 기자/jin3808@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